Korea University Department of Education

QUICK MENU
  • LOGIN
  • Korea Univ.
  • KUPID
  • 한국어

Internationalization abroad: out/inbound

 

구분

목적

세부 유형

결과(output)

성과(outcome)

A. 전통적 방식의 국제교류협력

(Internationalization abroad: out/inbound)

해외 대학의 대학원생과의 교류를 통해 국제적 맥락에서 교육에 대한 시각을 넓힘으로써 문화적 및 개인적 성장

1) 단기 비학점교류(short-term, non-credit):

1개월 미만의 학점 취득/학기 인정 불가(학술행사 및 문화교류 등 포함)

1-1) 다자 교류(multilateral): 참여교 3곳 이상

1-2) 양자 교류(bilateral): 양교 간 교류

교류 프로그램 참여 학생 수

경험 기반 연구 계획서 작성 1종(브라운백 미팅 활용)

문화적 및 개인적 성장을 이룬 대학원생

연구 경험 확대 및 실질적 성과 도출

양 대학에서 최소 1학기 이상 전공 분야 수업을 수강하면서 교수 및 대학원생과 교류 및 학술적 협업 기회 마련

2) 교환학생(Exchange students, semester-based):

학기 단위 6개월 이상 교류, 국내 수학 기간 및 학점 취득 인정(outbound)

교류 프로그램 참여 학생 수

연구 경험 확대 및 실질적 성과 도출

해외 대학의 교육 시스템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협력 기회 마련

3) 교원 교류(faculty exchange): 교원 간 교류, 학생 방문 포함

교류 참여 교원 수

교류 대학과의 협력 기회 증가 (학술적 협업, 학생 교류 등)

교류 대학과의 협력 증진